Dev Blog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Dev Blog

mode_edit_outline글작성 settings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프로그래밍
      • JAVA
      • Spring
      • Spring Boot
      • JPA
      • DB
      • etc
  • 홈
  • JAVA
  • Spring
  • Spring Boot
  • JPA
  • DB
  • etc
  • 깃허브
스프링의 싱글톤과 무상태성(stateless)

스프링의 싱글톤과 무상태성(stateless)

인터넷강의로 spring 공부를 하다가 무상태성이라는 단어를 듣게 되었다. 스프링의 디자인 패턴은 디폴트가 싱글톤방식이다. 싱글톤이란, 메모리에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하도록 생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때 여러 쓰레드에서 같은 인스턴스의 전역변수에 접근을 하게된다면 같은 값을 공유하게 돼버린다. 생각만해도 정말 끔찍하다... 위와 같은 상황을 상태유지(Stateful)라고 하며 의도적으로 상태유지를 하는것이 아니라면, 스프링 빈은 항상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무상태란 한번의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지면 연결이 끊기는것을 의미한다. 상태유지와 무상태에 대해 알아보며 싱글톤에 대해도 다시한번 공부하게 되었고 정말 스프링을 잘 이해하고 코딩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통상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 format_list_bulleted 프로그래밍/Spring
  • · 2024. 1. 14.
  • textsms
MVC패턴 흐름도

MVC패턴 흐름도

블로그 참고 https://hunit.tistory.com/189 1.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2. Dispatcher Servlet으로 요청을 받는다. 3. Handler Mapping에 해당 요청을 매핑한 Controller가 있는지 검색요청을 한다. 4. 매핑된 Controller가 존재한다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를 보여줄 view의 이름을 Dispatcher Servlet으로 return 한다. 5. Dispatcher Servlet은 view의 이름을 View Resolver로 보내 해당 view를 검색한다. 6. view의 처리 결과를 Dispatcher Servlet으로 return한다. 7. Dispatcher Servlet은 클라이언트로 최종결과를 return한다.

  • format_list_bulleted 프로그래밍/Spring
  • · 2023. 6. 11.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프로그래밍
      • JAVA
      • Spring
      • Spring Boot
      • JPA
      • DB
      • etc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jwt
  •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
  • #RedirectAttributes
  • #스프링
  • #springboot
  • #아키텍쳐
  • #thymeleaf
  •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 #Spring Security
  • #static final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